본문 바로가기

Review

[Book] 사랑의 기술

간만에 주위 사람에게 책을 추천받았다. 지금은 책을 남들에게 추천해주기도, 또 추천받기도 어려운 시대다. 자신이 읽어서 흡수했던 양분을 나눠준다는 것은 커다란 모험일 수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누군가는 불쾌해하며 거부할 수도 있기 때문에 나는 책 추천에 인색한 편이다.

책 제목부터 직설적으로 ‘사랑의 기술’이다. 그렇다고 연애를 어떻게 하는지를 다루는 연애기술서는 아니다. 저명한 학자 에리히 프롬의 ‘사랑’에 대한 분석을 돌아볼 수 있는 책이다. 그 ‘사랑’이 두 성인간의 사랑이기도 하고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 형재애, 인류애, 더 나아가 종교를 통한 신과의 사랑까지도 다루고 있다. 이 책에는 심리학적 분석과 인류의 본성에 대한 탐구가 가득하다. 무엇이라 불러야하는지도 매우 애매한 경계선에 놓여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에리히 프롬의 그만의 ‘사랑’이라는 학문을 창시했다고 평가받는다. 책을 읽고나서도 매우 어렵고, 이상적인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는 생각보다는 이성적으로 ‘사랑’이라는 감정 혹은 상태에 대한 고찰을 전해주는 느낌이 강하다.

“사랑은 활동이며 영혼의 힘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단지 올바른 대상을 찾아내는 것만이 필요하며, 그렇게 되면 그 밖의 일은 모두 저절로 될 것이라고 믿는다. 이 태도는 그림을 그리고 싶어하면서도 기술은 배우지 않고, 올바른 대상만을 고르면서 대상만 찾아내면 아름답게 그릴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태도에 비유할 수 있다. 만일 내가 참으로 한 사람을 사랑한다면 나는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세계를 사랑하고 삶을 사랑하게 된다. 만일 내가 어떤 사람에게 ‘나는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다면 ‘나는 당신을 통해 모든 사람을 살아하고 당신을 통해 세계를 사랑하고 당신을 통해 나 자신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사랑은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잉태되었다. 따라서 사회와 사랑은 긴밀한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에리히 프롬이 전해주는 올바른 사랑의 방법은 사실 이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가르키는 지침이기도 하다.

“물질적인 영역에서는 준다는 것은 부자임을 의미한다. 많이 ‘갖고’있는 자가 부자가 아니다. 많이 ‘주는’자가 부자다. 하나라도 잃어버릴까 안달을 하는 자는 심리학적으로 말하면 아무리 많이 갖고 있더라도 가난한 사람, 가난해진 사람이다.”

“어린아이의 사랑은 ‘나는 사랑받기 때문에 사랑한다’는 원칙에 따르고, 성숙한 사랑은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받는다.’는 원칙에 따른다. 성숙하지 못한 사랑은 ‘그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나는 그대를 사랑한다.’는 것이지만 성숙한 사랑은 ‘그대를 사랑하기 때문에 나에게는 그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보상으로 주어지는’사랑은 자기 자신 때문이 아니라 상대를 즐겁게 해주었다는 이유만으로 사랑을 받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분석해보면 사랑받는 게 아니라 이용당하고 있다는 쓰라린 감정을 쉽게 일으킨다.”

그의 책이 50년도 더 전에 쓰여졌음에도 불구하고, 더 개인주의화 되고 이기적으로 변한 사회에서도 책의 내용은 여전히 유효하다. 어떻게 사랑하는 것이 좋을까라는 질문을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을까? 라는 질문과 맞닿아있다. 그리고 이 질문들은 삶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이다. 개정판에 뒤에 덧붙인 글은 마치 해리포터시리즈의 장대한 여정의 마무리 뒤에 있는 에필로그 마냥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사랑’에 대해 말하고 우리에게 명강연을 펼친 에리히 프롬의 개인에 대한 이야기다. 학자의 개인 사생활을 공개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그의 제자가 그에 대해서 관찰,기록한 결과물을 통해 그의 불운한 삶 속에서 경험한 비완성적인 사랑과 여러 번의 결혼을 통해 그가 무엇을 느끼고 생각했을까. 그의 경험은 이 책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반응형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QCY QY 5s  (0) 2016.04.05
[Review] 삼성브라우저 + 유니콘 조합  (0) 2016.04.04
[Review] Asus Gamepad 게임패드  (0) 2016.03.26
[Movie] 주토피아  (1) 2016.03.25
[Movie] The gift 더 기프트  (1) 2016.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