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

[Movie] 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ke

# 나, 다니엘 블레이크



제목만 봐서는 도대체 어떤 영화인지 알 수가 없다. 나다니엘 블레이크라는 이름을 가진 액션히어로물인가?했지만 직접 영화를 본다면 생각과 달린 굉장히 답답한 현실과 가난 속에서 끝까지 저항하는 현실의 히어로를 다루고 있는 영화다. 다니엘 블레이크는 동네에서 주변 사람들에게 잔소리를 하고 다니지만, 이웃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괴짜 할아버지다. 목수인 그는 심장병 때문에 건물에서 추락할 뻔했다. 하지만 영화 첫 부분의 의사나 간호사가 아닌 의료전문가의 상담결과에 따라 그는 일할 수 있는 인물로 분류되어 더 이상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한다. 지원이 끊긴다는 소식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화를 걸지만 2시간 가까이 대기만 하게되고 그 기나긴 기다림 끝에 연결된 직원은 불친절하면서도 모순적인 이야기를 떠들어댄다. 지원 중단에 대한 항고를 위해서는 직원의 전화를 받아야하는데 아직 못받았으니 안된다고. 다니엘은 그냥 지금 바꿔주면 안되냐고 요청해보지만 돌아오는 것은 ‘안된다.’라는 답변 뿐이다. 질병으로 인한 수당을 못 받는다면 실업수당이라도 받기 위해 공공기관에 방문하여 보지만 인터넷으로 신청하라는 직원의 일방적인 통보에 다니엘은 점점 더 깊은 늪으로 빠져들어간다.

이 이야기의 또 다른 주인공인 케이티는 미혼모로 아이들 2명을 데리고 살고 있다. 런던의 살인적인 집세에 못 이겨 이사온 케이티는 다니엘과 마찬가지로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그리고 항의하는 도중 다니엘을 만나 서로 친해지게 된다. 다니엘은 먼저 떠난 아내와의 사이에서 아이들이 없었고 케이티에게는 아버지 역할이 필요한 아이들이 2명이 있었으니 교류가 계속 이어진다. 다니엘과 케이티는 가난이라는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다니엘은 그 누구보다 성실하게 살아왔고 자신의 이웃들에게 친절한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들조차 어려움에 처했을 때 손 내밀지 않는 현재의 영국 복지 시스템에 대한 고발이자 비판을 하는 영화이다. 이 영화를 보는 내내 그리 낯설지 않은 풍경이라는 인상을 받았다면 이 영화의 의미는 결코 영국만으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다소 답답할 정도로 앞이 보이지 않는 이야기. 보는 내내 소설 <오베라는 남자>이 생각났다. 물론 스토리와 분위기 모두 다르지만. 노인을 주인공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유사한 점들이 눈에 띈다. 다만 가난과 복지라는 문제는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만든다. 사실 가난과 복지는 인간이 국가라는 개념을 형성한 이후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자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국가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난과 복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가지는 비인간적인 요소와 복지 그 자체가 추구하는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살게 만들어주자는 목표와는 간격이 생각보다 크다. 한 마디로 비인간적인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을 인간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만들어줘야하는 묘한 모순이 생기는 것이다.

다니엘이 공공기관의 벽에 I, Daniel Blake로 시작하는 항의문을 락카로 그리는 부분은 이 영화의 상직적인 클라이막스다. 자신을 면담해줘야 하고 도움을 받아야할 기관과 다니엘 사이에 서있는 벽에 항의문을 쓰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함으로서 자신이 컴퓨터 화면 속에 떠있는 Daniel Blake라는 글자 11개가 아니라 살아 숨쉬는 인간임을 알린다.
(++ 이 부분에서 나오는 목소리 큰 어떤 한 아저씨는 사실 켄 로치 감독의 말을 그대로 전하고 있는 느낌)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담담한 시선으로 인물들을 바라보고 있다. 때로는 잔혹해보일 정도다. 결국 다니엘은 자신이 ‘당연히’ 받아야할 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 케이티는 아이들을 이끌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때로는 너무 작위적이고 과장한게 아닐까하는 부분도 있지만 괴짜같은 성격이지만 (비非 디지털적으로)유능한 동시에 이웃들에게 유쾌한 남자 다니엘의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는 분명 울림이 있다. 영화는 자신이 둘러보지 못한 주위를 둘러보게 만드는 동시에 다가오는 국가의 역할과 가난과 복지의 균형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한다. 꼭 한 번 보길 강력하게 추천한다.


반응형